1325번: 효율적인 해킹
첫째 줄에, N과 M이 들어온다. N은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M은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신뢰하는 관계가 A B와 같은 형식으로 들어오며, "A가 B를 신뢰한
www.acmicpc.net
분류
- 그래프 이론
- 그래프 탐색
- 너비 우선 탐색
- 깊이 우선 탐색
문제
해커 김지민은 잘 알려진 어느 회사를 해킹하려고 한다. 이 회사는 N개의 컴퓨터로 이루어져 있다. 김지민은 귀찮기 때문에, 한 번의 해킹으로 여러 개의 컴퓨터를 해킹 할 수 있는 컴퓨터를 해킹하려고 한다.
이 회사의 컴퓨터는 신뢰하는 관계와, 신뢰하지 않는 관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A가 B를 신뢰하는 경우에는 B를 해킹하면, A도 해킹할 수 있다는 소리다.
이 회사의 컴퓨터의 신뢰하는 관계가 주어졌을 때, 한 번에 가장 많은 컴퓨터를 해킹할 수 있는 컴퓨터의 번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과 M이 들어온다. N은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M은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신뢰하는 관계가 A B와 같은 형식으로 들어오며, "A가 B를 신뢰한다"를 의미한다. 컴퓨터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하나씩 매겨져 있다.
출력
첫째 줄에, 김지민이 한 번에 가장 많은 컴퓨터를 해킹할 수 있는 컴퓨터의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출력한다.
풀이
- 입력된 신뢰관계를 보고 인접리스트를 만든다.
- BFS의 최대 연결 횟수를 구하여 갱신하는 방식이므로 함수 안에 방문 배열을 만들어 방문체크하면서 최종 횟수를 리턴한다.
- bfs가 완료될 때마다 최대 값을 갱신하고 갱신되면 rlt를 비우고 추가하고 최대값과 동일한 값이 나온다면 rlt에 추가한다.
- python3는 계속 시간초과가 발생하여 pypy3로 통과했다.
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arr = [[] for _ in range(N+1)]
rlt = []
# 인접리스트 만들기
for _ in range(M):
A, B = map(int, input().split())
arr[B].append(A)
def bfs(st):
# bfs를 여러번 실행할 예정이라 함수 안에 visit 배열 만들기
visit = [0] * (N + 1)
# 연결된 최대 노드 개수를 구해야 하므로 cnt를 구해서 리턴
cnt = 0
q = deque()
q.append(st)
visit[st]=1
while q:
now= q.popleft()
for i in arr[now]:
if not visit[i]:
visit[i] = 1
cnt+=1
q.append(i)
return cnt
# 최대 값 구하기
# bfs를 구할 때마다 최대값을 갱신하고 갱신되면 리스트를 비우고
# 갱신되지 않고 현재 mx 값과 동일할 경우 rlt에 추가한다.
mx = 0
for i in range(1, N+1):
ans = bfs(i)
if mx < ans:
mx = ans
rlt.clear()
rlt.append(i)
elif mx == ans:
rlt.append(i)
print(*rlt)
'알고리즘 문제풀이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717번] 집합의 표현 - 파이썬(python) (0) | 2023.05.01 |
---|---|
[백준 18352번]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 - 파이썬(python) (0) | 2023.04.27 |
[백준 1934번] 최소공배수 - 파이썬(python) (0) | 2023.04.20 |
[백준 1016번] 제곱 ㄴㄴ 수 - 파이썬(python) (0) | 2023.04.20 |
[백준 1747번] 소수&팰린드롬 - 파이썬(python) (0) | 2023.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