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다음 규칙을 지키는 문자열을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고 정의합니다.
- (), [], {} 는 모두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 만약 A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면, (A), [A], {A}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예를 들어, [] 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므로, ([])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 만약 A, B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면, AB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예를 들어, {} 와 ([]) 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므로, {}([])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대괄호, 중괄호, 그리고 소괄호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 s를 왼쪽으로 x (0 ≤ x < (s의 길이)) 칸만큼 회전시켰을 때 s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되게 하는 x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s의 길이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풀이 설계
- for문으로 슬라이싱하여 회전한 새로운 문자열을 만든다.
- 괄호의 짝을 맞출 빈 리스트 stack을 만든다.
- stack이 비어있는데 닫힌 괄호가 시작이라면 break한다.
- 열린 괄호는 stack에 넣는다.
- stack[-1]과 닫힌 괄호를 비교해서 짝이 맞다면 stack[-1]을 pop한다.
- 짝이 맞지 않다면 break하여 for문을 빠져나온다.
- for문이 끝났는데 올바른 문자열이라면 answer+1한다.
문제 풀이 (성공)
- stack이 비어있다면 올바른 문자열이라고 생각했는데 시작이 닫힌 괄호여도 break라서 올바르지 않은 문자열일 수 있다는 것을 설계할 때는 생각하지 못했었다..
- break로 for문을 빠져나왔을 때와 올바른 문자열이라 for문이 완료되었을 때를 구분하기 위해 flag를 설정했다.
def solution(s):
answer = 0
length = len(s)
for i in range(length):
tm_string = s[i:]+s[:i]
stack = []
flag = 1
for idx in range(length):
if not stack and tm_string[idx] in [']', '}', ')']:
flag = 0
break
if tm_string[idx] in ['[', '{', '(']:
stack.append(tm_string[idx])
elif stack[-1] == '(':
if tm_string[idx] == ')':
stack.pop()
else:
flag = 0
break
elif stack[-1] == '{':
if tm_string[idx] == '}':
stack.pop()
else:
flag = 0
break
elif stack[-1] == '[':
if tm_string[idx] == ']':
stack.pop()
else:
flag = 0
break
if not stack and flag:
answer+=1
return answer
다른 풀이
- deque와 replace를 활용해서 더 간단하게 만든 풀이가 있어서 찾아 봤다.
- 코드 길이는 짧아졌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생겼다.
- replace를 활용해서 짝이 맞는 괄호를 없앤다.
- 그렇게 모든 괄호를 없애고 문자열이 비어있다면 +1 한다.
def check(s):
while True:
if '()' not in s and '[]' not in s and '{}' not in s:
break
s = s.replace('()', '')
s = s.replace('[]', '')
s = s.replace('{}', '')
return 1 if len(s) == 0 else 0
def solution(s):
answer = 0
for i in range(len(s)):
answer += check(s)
s = s[1:] + s[0]
return answer


후기
- 괄호 없애기는 몇번 구현으로 풀어봐서 방법은 알고 있어서 나름 쉽게 풀었던거 같다.
- replace를 알게 된 계기?가 되었다.
'알고리즘 문제풀이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H-Index - 파이썬(python) (1) | 2024.01.09 |
---|---|
[프로그래머스] n^2 배열 자르기 - 파이썬 (python) (0) | 2024.01.08 |
[프로그래머스] 연속 부분 수열 합의 개수- 파이썬(python) (1) | 2024.01.06 |
[프로그래머스] 귤 고르기 - 파이썬(python) (1) | 2024.01.05 |
[프로그래머스] N개의 최소공배수 - 파이썬(python) (2) | 2024.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