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tuple)이라고 합니다.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튜플(n-tuple)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a1, a2, a3, ..., an)
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ex : (2, 3, 1, 2)
-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 ex : (1, 2, 3) ≠ (1, 3, 2)
-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
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a1, a2, a3, ..., an)이 주어질 때(단, a1, a2, ..., an은 자연수),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 '}'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a1}, {a1, a2}, {a1, a2, a3}, {a1, a2, a3, a4}, ... {a1, a2, a3, a4, ..., an}}
예를 들어 튜플이 (2, 1, 3, 4)인 경우 이는
- {{2}, {2, 1}, {2, 1, 3}, {2, 1, 3, 4}}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
- {{2}, {2, 1}, {2, 1, 3}, {2, 1, 3, 4}}
- {{2, 1, 3, 4}, {2}, {2, 1, 3}, {2, 1}}
- {{1, 2, 3}, {2, 1}, {1, 2, 4, 3}, {2}}
는 모두 같은 튜플 (2, 1, 3, 4)를 나타냅니다.
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s의 길이는 5 이상 1,000,000 이하입니다.
- s는 숫자와 '{', '}',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풀이 설계
- 집합이 하나의 문자열로 표현되므로 replace와 split을 사용하여 각각의 집합으로 나눈다.
- 나눠진 집합을 리스트로 만들어 길이순으로 정렬한다.
- 중복되는 원소가 없으므로 가장 짧은 집합부터 answer를 채워나간다.
풀이 1
- replace를 사용해서 '}'와','를 ''로 바꿨더니 집합안에 ''도 들어가 버려서 제외하고 계산했다.
- 복잡한 로직은 아닌데 코드가 지저분해 보인다는 문제가...
def solution(s):
answer = []
lst = s.replace('}','')
lst = list(lst.split('{'))
lst.sort(key=len)
for sett in lst:
if sett != '':
tm = list(sett.split(','))
for i in tm:
if i != '':
if not int(i) in answer:
answer.append(int(i))
return answer
풀이 2
- 좀 더 깔끔한 풀이로 바꿔봤다.
def solution(s):
def solution(s):
answer = []
lst = s[2:-2].split('},{')
lst.sort(key=len)
for sett in lst:
tm = list(map(int,sett.split(',')))
for i in tm:
if not i in answer:
answer.append(i)
return answer
다른 풀이
- 정규표현식을 사용하여 문자열에서 숫자만 추출해서 리스트로 반환한다.
- 각 숫자의 개수를 세어 개수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 정렬된 숫자를 정수로 바꾸어 리스트로 반환한다.
def solution(s):
s = Counter(re.findall('\d+', s))
return list(map(int, [k for k, v in sorted(s.items(), key=lambda x: x[1], reverse=True)]))
import re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후기
- 처음에 단순히 마지막 집합만 뽑으면 되는줄 알고 쉽네? 했다가 문제를 다시보니 집합 안의 순서는 바뀔수도 있다는 걸 보고 다시 풀었다.
- 저번에 봤던 replace를 써보고 싶어서 쓴건데 정리하다보니 굳이 필요한 코드는 아니었다.
- 다른 풀이 보면서 정규표현식에서 '오?'하다가 Counter로 숫자 개수세서 풀이하는거 보고 '와...'이런 느낌을 받았다.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하지?
- 수행시간을 보니 집합이 작을때는 1번이나 2번이 빠른데 집합이 커지면 정규표현식을 사용하는 방법이 훨씬 빠른 것 같다.
'알고리즘 문제풀이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의상 - 파이썬(python) (0) | 2024.01.14 |
---|---|
[프로그래머스] 프로세스 - 파이썬(python) (1) | 2024.01.13 |
[프로그래머스] 기능개발 - 파이썬(python) (0) | 2024.01.11 |
[프로그래머스] 행렬의 곱셈 - 파이썬(python) (0) | 2024.01.10 |
[프로그래머스] H-Index - 파이썬(python) (1) | 2024.0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