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문제풀이/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 n진수 게임 - 파이썬(python)

by mine* 2024. 1. 19.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7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N진수 게임

튜브가 활동하는 코딩 동아리에서는 전통적으로 해오는 게임이 있다. 이 게임은 여러 사람이 둥글게 앉아서 숫자를 하나씩 차례대로 말하는 게임인데,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숫자를 0부터 시작해서 차례대로 말한다. 첫 번째 사람은 0, 두 번째 사람은 1, … 열 번째 사람은 9를 말한다.
  2. 10 이상의 숫자부터는 한 자리씩 끊어서 말한다. 즉 열한 번째 사람은 10의 첫 자리인 1, 열두 번째 사람은 둘째 자리인 0을 말한다.

이렇게 게임을 진행할 경우,
0, 1, 2, 3, 4, 5, 6, 7, 8, 9, 1, 0, 1, 1, 1, 2, 1, 3, 1, 4, …
순으로 숫자를 말하면 된다.

한편 코딩 동아리 일원들은 컴퓨터를 다루는 사람답게 이진수로 이 게임을 진행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0, 1, 1, 0, 1, 1, 1, 0, 0, 1, 0, 1, 1, 1, 0, 1, 1, 1, …
순으로 숫자를 말하면 된다.

이진수로 진행하는 게임에 익숙해져 질려가던 사람들은 좀 더 난이도를 높이기 위해 이진법에서 십육진법까지 모든 진법으로 게임을 진행해보기로 했다. 숫자 게임이 익숙하지 않은 튜브는 게임에 져서 벌칙을 받는 굴욕을 피하기 위해, 자신이 말해야 하는 숫자를 스마트폰에 미리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한다. 튜브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라.

입력 형식

진법 n, 미리 구할 숫자의 갯수 t, 게임에 참가하는 인원 m, 튜브의 순서 p 가 주어진다.

  • 2 ≦ n ≦ 16
  • 0 < t ≦ 1000
  • 2 ≦ m ≦ 100
  • 1 ≦ p ≦ m

출력 형식

튜브가 말해야 하는 숫자 t개를 공백 없이 차례대로 나타낸 문자열. 단, 10~15는 각각 대문자 A~F로 출력한다.

풀이 설계

  • 진법이 2,4,8이런 수가 아닌 2부터 16까지 이므로 n과 숫자 number가 입력되었을때 10진수를 n진수로 바꾼값을 출력하는 함수를 만든다.
  • 10부터 15는 A~F로 표현되어야하므로 아스키 코드를 사용한다.
  • 튜브가 말하는 숫자의 개수와 사람을 곱해 몇번째 자리까지 구해야하는지 구한다.
  • 숫자 0부터 시작해서 n진수로 바꾼 값을 입력할 문자열 rlt를 만든다.
  • 함수 formation의 결과로 나온 문자열의 길이를 최종 ed값에서 빼서 언제까지 while문을 실행할지 정한다.
  • 마지막에 for문으로 튜브가 말할 숫자를 구한다.

풀이

  • 정확히 몇번째까지 구해야하는지 구하는 것보다 대충 이정도로 구해야한다. 정도로만 생각하고 종료값을 정했더니 마지막에 생각보다 길어져서 원하는 길이까지 슬라이싱하는 코드를 추가했다.
def formation(number, base):
    if number == 0:
        return '0'
    else:
        result = ''
        while number > 0:
            remain = number % base
            if remain >= 10:
                result = chr(ord('A') + remain - 10) + result
            else:
                result = str(remain) + result
            number //= base
        return result

def solution(n, t, m, p):
    answer = ''
    ed = t*m
    number = 0
    rlt = ''
    while ed > 0:
        tm = formation(number, n)
        rlt += tm
        ed -= len(tm)
        number += 1
    for i in range(p-1,len(rlt),m):
        answer += rlt[i]
    answer = answer[:t]
    return answer

다른 풀이

  • divmod를 사용하여 몫과 나머지를 한번에 구하는 코드를 발견했다.
  • 아스키코드로 안쓰고 문자열로 한 것도 코드가 좀 더 깔끔해보이는 것 같다.
def solution(n, t, m, p):
    m_chars = '0123456789ABCDEF'

    def _rep(numb, to):
        j, k = divmod(numb, to)
        i = m_chars[k]
        return ('' if j == 0 else _rep(j, to)) + i

    numbers = ''
    for i in range(0, t * m):
        numbers += _rep(i, n)
        if len(numbers) >= t * m:
            break

    result = ''
    for i in range(p - 1, t * m, m):
        result += numbers[i]

    return result
왼쪽푸터 풀이(아스키코드), 다른풀이 (divmod)

후기

  • formation함수 설계에 시간이 조금 걸렸다.
  • A,B,C같은 문자를 어떻게 가져오지 하다가 아스키코드를 사용한 건데 그냥 전체문자열을 사용하는 편이 가독성 좋은 코드가 나오는 것 같다.

댓글